안녕하세요. 오스테오파스(Osteopath(KR)이자 물리치료사 이재구입니다.
오늘은 요통환자들의 하지치료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임상을 하면서 만나게되는 요통환자들을 평가하게될 때
환자의 주 증상(Chief complaint)을 듣게됩니다.
환자의 요구를 듣고, 환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흘러가게되면
아무래도 통증을 호소하는 허리에 집중이 될 수 밖에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허리는 단독으로 움직일 수 있는 관절이 아니며
요골반의 리듬, 고관절의 협응을 통해서 함께 움직이게됩니다.
.( Tojima M, Ogata N, Nakahara Y, Haga n. Three-dimensional motion analysis of lumbopelvic rhythm during trunk extension. Journal of Human Kinetics,1 2016)
일상생활속에서 허리를 움직이는 동작에는 언제나 요골반리듬이 함께하며,
허리의 체성장애를 평가할 때 하지의 움직임을 언제나 고려해야합니다.
허리를 숙이거나 펴는 동작, 그 어떠한 움직임에서도 하지의 움직임을 고려하지않을 수 없습니다.
우리는 일상생활 속에서 앉아있을 수만은 없습니다. 하루에 많은양을 움직일 수 밖에 없으며, 하루에 평균 10000걸음 이상을 걷게됩니다. 걸음을 걸을 때, 한 다리는 지면에 붙어있고 남은 한 다리는 땅 바닥에서 들어올려서 걷게됩니다.
하지의 근력이 약해지거나, 과사용을 하게되어도 요추의 움직임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움직임후에, 요추의 직립상태로 돌아올 때도, 하지의 굴곡근의 긴장이나, 신근의 약화가 되는 경우 골반의 움직임의 저하되며, 요추의 신전근의 과부하가 걸리게되어 허리통증을 만들어낼 수 있게됩니다.
(Vazirian M, Van Dillen L, Bazrgari B. Lumbopelvic rhythm during trunk motion in the sagittal plane: A review of the kinematic measurement methods and characterization approaches. Physical therapy and rehabilitation. 2016)
(Lowe W:The lumbopelvic rhythm. Academy of clinical massage, published july 1,2015. Accessed Sept 2020)
Single leg squat test(dynamic valgus) 외발 스쿼트 검사는 한다리로 서있는 자세에서 실시하는 임상검사로써, 요골반 부위,하지의 신경근 문제를 간단하게 평가하기위해서 자주 사용하게됩니다.
이 검사는 슬개대퇴통증증후군, 무릎 골관절염, 전방십자인대 재활의 스포츠 복귀를 위한 검사로 사용되는 검사입니다.
검사중에, 과도하게 내측으로 편위되는 무릎은 일반적으로 발견될 수 있으며
하지의 비정상적인 움직임 패턴의 지표로 사용이 됩니다.
내측으로 편위되는 증상은 일반적인 하지기능장애 및 전방십자인대의 손상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습니다.
(ailey R, Selfe J, Richards J. The single leg squat test in the assessment of musculoskeletal function: a review. Physiotherapy practice and research.2011)
슬개대퇴 통증 및 발목 배측굴곡 제한이 있는 여성의 배측굴곡 ROM, 동적 무릎 외반, 무릎 통증에 대해 하지 관절가동술이 어떤 이점이 있는지 조사한 연구입니다.
발목 배측 굴곡 운동범위의 제한은 과도한 동적 무릎 외반(Dynamic valgus)와 관련이 있으며 이러한 발목의 가동성 제한은 무릎통증과도 관련이 있었다고합니다.
이 때, 하지에 대한 관절가동술은 한 다리로 지지할 때 나타날 수 있는 기능과 통증에 유의한 효과가 있었습니다.
또한, 비특이적 요통을 가지고있는 환자들에게 요추에 대한 관절가동술과 함께, 하지에 대한 관절가동술을 같이 적용하였을 때 , 허리의 통증과 고관절의 가동성은 즉각적인 효과를 볼 수 있었으며, 요추에 대한 가동범위와 SLR의 가동범위에서의 효과는 장기적으로 나타나는 모습을 볼 수 있었습니다.
요통이 있는 환자들을 만나게 될 때, 환자의 호소증상(Chief complaint)에 따라 환자가 원하는 치료만을 따라가게되면, 우리는 움직임 검사와 자세에 대한 두 가지 부분을 놓치게 될 수 있습니다.
다관절움직임(multisegmental movement)은 단관절의 움직임의 조합으로 만들어지게되는 움직임입니다.
허리의 가동성과 제한으로 인하여, 단순하게 허리의 가동성을 만들어내는 치료를 진행하게되면, 되려 통증을 심하게 만들어내는 방향으로 치료를 진행하게될 가능성이 높게되며,
사람은 일상생활에서 앉고,걷고,오르고 내리는 움직임을 할 때 항상 하지와 움직임을 같이 가져가게됩니다.
이 때, 하지에 대한 관절가동술은 하지의 보상적인 움직임패턴, 또는 제한된 움직임을 개선시키는데 사용할 수 있는 또 하나의 무기가 될 수 있습니다.
'도수치료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스크의 종류에 대하여 (4) | 2023.12.22 |
---|---|
척추에서의 치료가 무릎에 대한 통증을 개선시킬 수 있는가? (2) | 2023.12.10 |
척추통증의 말초화(Peripheralization) 증상에 대한 방향선호도에 대하여 (2) | 2023.12.09 |
사지(Extremity)의 문제를 척추의 중재를 적용하여 개선시킬 수 있는가? (2) | 2023.12.07 |
카이로프랙틱 vs 정형의학, 물리치료에서의 허리치료에 대한 관점에 대하여 (0) | 2023.12.05 |